반응형
리눅스에서 사용자 계정관리를 위해 adduser / useradd 의 총 2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차이점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dduser : OS가 사용자 이름을 물어보고, 전화번호를 물어보면서 자동으로 그룹과 홈 디렉토리를 생성해줍니다.
useradd : 사용자가 직접 그룹을 지정해야하고, 홈 디렉토리를 설정해야합니다.
전 주로 useradd를 사용해서 직접 지정하는편인데, adduser로 하면 생성하고나서 계정에 대한 그룹을 다시 지정해줘야하는 불편함이 있어서 옵션을 좀 더 사용하더라도 useradd를 활용해서 만들고있습니다.
1. useradd 명령어에서 주로 사용하는 옵션
-m : 홈 디렉토리 자동 생성
-d : 홈 디렉토리 지정
-g : 그룹 지정
-s : 쉘(shell) 지정
-p : 패스워드 지정
※ 이외에도 많은 옵션들이 있지만, 그건 필요하면 더 추가로 작성하겠지만 뭐 이 정도 옵션이면 보안상 사용자 계정관리하는데 크게 문제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폴더 소유권, 접근권한만 잘 막아준다면요 ㅎ root 사용 피하고...)
실 사용 예제)
groupadd convergence
useradd -m -d /home/ -g convergence -s /bin/bash jskang
passwd jskang
반응형
'백앤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Docker 에서 리눅스 OS 실행하기 (0) | 2023.05.04 |
---|---|
[Linux] 리눅스에 Git 설치하기 (0) | 2022.05.19 |
[Linux] 방화벽 포트가 연결 되는지 확인하기 (0) | 2021.11.22 |
[Linux] 메일 서버 구축하기 (0) | 2021.07.26 |
[Linux] iptables로 방화벽 관리하기 (0) | 2020.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