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lab 백앤드/Etc 2022. 5. 20. [GitLab] GitLab에서 CI/CD 설정하기 - GitLab 설정편 #3 [GitLab] GitLab에서 CI/CD 설정하기 - GitLab 설정편 #3 GitLab에서 패키징할 수 있는 소스파일을 업로드가 되어지고 추가로 아래 내용으로 .gitlab-ci.yml 파일을 푸쉬합니다. stages: - build - test - deploy variables: HOME_PATH: "/home/jskang" RUNNER_PATH: "/home/gitlab-runner" build-job: stage: build script: - echo "Start building" tags: - jskang_cicd_manager test-job1: stage: test script: - mkdir TestResult - cp $HOME_PATH/sample-data/sample.json $R.. 백앤드/Etc 2022. 5. 20. [GitLab] GitLab에서 CI/CD 설정하기 - 서버 설정편 #2 [GitLab] GitLab에서 CI/CD 설정하기 - 서버 설정편 #2 먼저 CI/CD를 사용할 GitLab Repository로 접속합니다. 첫번째로 사진에 보이는 메뉴로 Setting > CI/CD 로 메뉴을 이동합니다. 두번째로 오른쪽 화면에서 Runner 을 Expand 버튼을 눌러서 메뉴를 확장시켜줍니다. 그 후, 왼쪽에 빨간줄로 그어진 부분을 실제로 서버에 설정을 할 때 필요한 부분입니다. 창을 닫지말고 다시 서버에 접속한 콘솔로 이동합니다. sudo gitlab-runner register --url {URL} --registration-token {TOKEN} 콘솔에서 위 명령어를 실행하되, {URL}과 {TOKEN}에는 각자에 맞는 값으로 변경하도록 합니다. {URL} : 위에 있는 빨.. 백앤드/Etc 2022. 5. 19. [GitLab] GitLab에서 CI/CD 설정하기 - 서버 설정편 #1 [GitLab] GitLab에서 CI/CD 설정하기 - 서버 설정편 #1 GitLab과 GitHub의 설정은 거의 비슷하다고 보면 됩니다. 각 사이트마다 매뉴얼이 있어서 매뉴얼 보면되고, 이 블로그이서는 GitLab을 기준으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서버에 git이 설치되어있어야합니다. git 설치에 대한 내용은 [Ubuntu] 리눅스에 Git 설치하기 포스팅을 보고 따라하시면 됩니다. 먼저 아래 URL로 이동해서 gitlab-runner 로 되어있는 바이너리 중에서 설치할 OS에 맞는 파일을 다운받아줍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portable 버전을 사용하지 않고 deb 설치파일로 설치를 해서 진행하였습니다. 설치파일이 아닌 portable 방식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기때문에 원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면 됩.. 이전 1 다음 Calendar « 2025/04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더보기 에러해결 설치가이드 클레이튼 강좌 환경설정 javascript 논문 Linux 블록체인 개념 데이터베이스 논문리뷰 mysql 자바 git blockchain vuejs 스마트컨트랙트 이클립스자바 SpringBoot angular jquery Java 자료구조 이더리움 한양대학원 에러원인 이오스 gitlab Frontend Archives Visits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