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 로 Smart Contract 를 개발/구현하기 위한 사전작업을 하나 더 해줘야하는데
설치하기 위한 설치 디렉토리를 생성해줍니다.
mkdir eos_contract
이렇게 EOS 설치가 끝났어요.
엄청 간단하죠?
2018년 6월에 한창 메인넷 된 직후에는 이런 매뉴얼도 없고 하다보니 온갖 삽질을 하면서
EOS Git에서 소스파일을 다운받고, 소스파일로 빌드해서 설치한 기억이 있었는데
지금은 그에 비하면 엄청 간단해졌네요.
이번엔 다음 포스트에서 진행하기 전에 미리 알고 있어야할 것들을 살펴보고 포스트 마칠게요.
nodeos (node + eos = nodeos)
-the core EOSIO node daemon that can be configured with plugins to run a node. Example uses are block production, dedicated API endpoints, and local development.
(번역: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노드를 실행하도록 구성 할 수있는 코어 EOSIO 노드 데몬. 블록 생산, 전용 API 엔드 포인트 및 로컬 개발이 그 예입니다.)
cleos (cli + eos = cleos)
- command line interface to interact with the blockchain and to manage wallets
(번역: 블록체인과 상호작용하며 지갑을 관리하는 툴입니다.)
keosd (key + eos = keosd)
- component that securely stores EOSIO keys in wallets.
(번역 : EOSIO 지갑 주소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툴입니다.)
eosio-cpp
- Part of eosio.cdt, it compiles C++ code to WASM and can generate ABIs
(번역 : eosio.cdt의 일부로 컨트랙트 개발을 쉽게하는 툴입니다.)
(이오스, 이오스 댑, 이오스 dapp, 스마트컨트랙트, 컨트랙트, smartcontract, contract, 이오스 개발, dapp 개발, 개발, 블록체인)